밀가루, 부침가루, 빵가루 – 각각의 보관법과 유통기한 완전 정리
1. 밀가루류는 여름철 ‘벌레·곰팡이’ 위험군 1순위입니다밀가루, 부침가루, 빵가루는 주방에서 자주 쓰이면서도 방심하기 쉬운 식재료입니다. 대부분 ‘가루니까 오래 가겠지’라고 생각해 습관처럼 상온에 두지만, 특히 여름철 고온다습한 환경에서는 벌레, 곰팡이, 냄새 문제가 빈번히 발생합니다.특히 밀가루류는 습기를 흡수하기 쉬운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장기간 보관 시 가루벌레(쌀도둑벌레, 곡물좀벌레 등)가 알을 낳아 안 보이는 곳에서 증식할 수 있습니다. 사용 시 냄새가 묘하게 비리거나, 살짝 노르스름하게 변했거나, 검은 알갱이가 보이면 이미 벌레가 번식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가장 흔한 보관 실수는 밀가루를 봉지째 클립으로 닫아 찬장에 넣어두는 것인데, 이 방식은 습기 차단이 되지 않기 때문에 쉽게 변질되고 ..
쌀벌레 안 생기게 쌀 보관하는 법
1. 여름철마다 나타나는 불청객, 쌀벌레의 정체는?덥고 습한 여름철, 어느 날 갑자기 쌀통을 열었더니 검은 벌레들이 움직이는 걸 본 적 있으신가요? 바로 '쌀벌레'라 불리는 해충인데, 정확한 이름은 **메뚜기벌레, 곡물좀벌레(Weevil)**입니다. 이 곤충은 성충이 아니라 유충 상태에서 쌀알 안에 알을 낳기 때문에, 겉으로는 멀쩡해 보이는 쌀에서도 번식할 수 있습니다.특히 온도가 25~30도, 습도 70% 이상일 때 활동이 활발해지기 때문에, 여름철이나 통풍이 안 되는 곳에 쌀을 두면 순식간에 번식해버립니다.쌀벌레는 보기에도 불쾌하지만, 먹을 경우 건강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벌레가 낳은 알, 배설물, 번식된 곡물은 부패 속도가 빨라지고, 장내 세균 증식 및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따..
냉장고 속 과일, 어떻게 보관해야 오래 신선할까?
1. 냉장 보관이 능사는 아니다: 과일마다 다른 보관법많은 사람들은 과일을 무조건 냉장고에 보관하면 신선도가 오래 유지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과일은 종류마다 수분 함량, 산성도, 껍질 구조, 숙성 속도 등이 달라서 동일한 방식으로 보관하면 오히려 신선도나 풍미를 해치는 경우가 많습니다.예를 들어 바나나, 파인애플, 망고처럼 열대과일은 냉장 보관 시 냉해(冷害)를 입을 수 있어 껍질이 검게 변하거나 조직이 물러지고, 향도 줄어듭니다. 반면, 사과, 포도, 베리류는 냉장 보관이 필수이며, 실온에 오래 두면 당도와 식감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습니다.또한 **‘씻어서 보관할까, 안 씻고 보관할까’**에 대한 혼란도 많은데, 대부분의 과일은 씻지 않은 상태로 보관해야 수분이 유지되고 곰팡이 발생을 막을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