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냉장고 속 오래된 계란, 그냥 먹어도 될까?
계란은 냉장고에 항상 구비되어 있는 식재료 중 하나지만, 유통기한이 지난 계란을 마주할 때마다 "이거 먹어도 될까?" 하는 고민을 해본 적, 다들 있으실 겁니다. 특히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의 차이에 대해 명확히 알지 못하면, 괜히 멀쩡한 계란도 버리는 일이 생기곤 하죠. 계란은 다른 식품에 비해 부패 속도가 느리지만, 보관 방법이나 온도, 포장 상태에 따라 변질 속도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실제로 계란은 유통기한이 지난 후에도 냉장 상태에서 보관했다면 최대 2~3주까지 섭취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그 ‘가능성’이 항상 ‘안전’을 보장하지는 않기 때문에, 실제로 계란이 상했는지 직접 확인하는 방법을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아래에서 소개할 세 가지 방법은 누구나 집에서 손쉽게 실천할 수 있어, 계란의 신선도를 판단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거예요.
2. 물에 띄워보는 부력 테스트 – 가장 쉽고 정확한 방법
첫 번째로 소개할 방법은 **‘물에 띄우기 테스트’**입니다. 큰 그릇에 물을 가득 담고, 계란을 살살 넣어 보세요. 계란의 상태에 따라 다음과 같은 반응이 나타납니다:
- 계란이 바닥에 눕는다: 매우 신선한 상태
- 계란이 바닥에 선 채로 세워진다: 신선도는 떨어졌지만 아직 먹을 수 있음
- 계란이 물에 떠오른다: 이미 상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음
이 테스트는 계란 속 공기 주머니의 크기를 이용한 원리입니다. 계란이 오래될수록 수분이 증발하고 내부에 공기 공간이 커지기 때문에 부력이 커져 떠오르게 됩니다. 단, 간혹 뜨는 계란 중에서도 냄새나 외관상 멀쩡한 경우가 있을 수 있으니, 물에 뜬다면 무조건 폐기하는 게 안전합니다.
3. 깨서 확인하는 시각·후각 테스트
두 번째는 계란을 직접 깨보는 방법입니다. 접시나 투명한 유리 그릇에 계란을 조심스럽게 깨서 담아보면 흰자와 노른자의 형태, 냄새로 신선도를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어요.
- 신선한 계란은 흰자가 탱글하게 퍼지지 않고 볼록하고, 노른자가 동그랗게 중앙에 잡힙니다.
- 오래된 계란은 흰자가 흐물흐물하고 넓게 퍼지며, 노른자도 퍼져 모양이 무너질 수 있어요.
- 상한 계란은 특유의 **유황 냄새나 썩은 냄새(암모니아 비슷한 역한 냄새)**가 나고, 색이 탁하거나 핏줄 같은 게 보일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시각과 후각 모두를 사용하는 직접적인 테스트로, 조리 직전에 한 번 더 확인용으로 활용하면 좋아요. 단, 이미 조리한 후에는 판단이 어렵기 때문에 항상 요리 전에 점검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4. 올바른 계란 보관법과 실수 방지 팁
계란이 상하는 것을 예방하려면 보관법부터 점검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마트에서 판매되는 계란은 세척 후 유통되기 때문에 껍질의 보호막(큐티클)이 제거되어 외부 세균에 더 취약해집니다. 따라서 무조건 냉장 보관이 기본입니다. 온도는 0~4℃ 사이가 가장 이상적이며, 냉장고 문칸이 아닌 내부 깊은 칸에 보관하는 것이 온도 변화가 적어 안전합니다.
계란의 뾰족한 쪽이 아래로 가도록 세워서 보관하면, 노른자가 중심을 유지하고 노화 속도가 느려집니다. 또한, 껍질에 금이 간 계란은 세균이 쉽게 침투하므로 발견 즉시 폐기하거나 바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계란을 씻어서 보관하는 습관도 피해야 합니다. 씻는 과정에서 미세한 균이 껍질을 통해 침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유통기한이 지난 계란은 반드시 위의 테스트를 거친 후 사용하고, 여름철에는 유통기한이 남아 있어도 항상 의심하고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안전합니다.
'식품 안전 & 보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밥을 오래 보관하는 최적의 방법과 유통기한 (0) | 2025.07.07 |
---|---|
냉장고 안 치즈, 곰팡이 피었는데 먹어도 될까? (0) | 2025.07.07 |
유통기한 지난 달걀, 먹어도 될까? 안전한 기준 알려드립니다 (0) | 2025.07.07 |
냉장고에 보관하면 안 되는 의외의 식품들 (0) | 2025.07.07 |
식중독 주의! 여름철 절대 하면 안 되는 음식 보관 습관 (0) | 2025.07.07 |
남은 밥 냉장 보관, 며칠까지 괜찮을까? (0) | 2025.07.07 |
고기 해동한 거 다시 냉동해도 되나요? (1) | 2025.07.07 |
김치에 하얀 곰팡이 생겼어요. 먹어도 될까요? (0) | 2025.07.07 |